지구인의 고대사공부방


당(唐) 평주 북평군 노룡성(盧龍城)과 석성현(石城縣)의 상대적 위치 검증 - 백랑산과 백랑수 3부

카테고리 없음

https://earthlin9.tistory.com/27  ☜  2부로 돌아가기

 

석성현은 노룡성 서쪽 140리에 있었다.

 

석성현(石城縣), [평주(平州) 치소로부터] 서쪽 141리의 두 마을이다. 한(漢)의 옛 현으로서 갈석(碣石)이 성(城)과 같이 서 있다고 여기어 이름 지었으며 우북평군(右北平郡)에 속하였다.  石城縣。西一百四十一里,二鄉。漢舊縣,取碣石立如城以名之,屬右北平。
『太平寰宇記』 권 70 '平州'

평주(平州) 석성현(石城縣)은 노룡(盧龍)의 서쪽 140리에 있다. 갈석(碣石)산이 있다. 진시황이 글을 돌에 새기고 한무제가 올랐다.  平州石城縣在盧龍西一百四十里 有碣石 始皇刻石漢武登之
『書蔡氏傳旁通』 권 2, 元 陳師凱 撰

북평군(北平郡), ... [군의 치소에서] 서북으로 140리를 가면 석성현(石城縣)에 이른다.  北平郡 ... 西北到石城縣一百四十里
『通典』  권 178

석성(石城)현, 한(漢)의 현으로서 우북평(右北平)군에 속했다. 정관(貞觀) 15년에 옛 림유현성(臨渝縣城)에 림유(臨渝)현을 설치하였다. 만세통천(萬嵗通天) 2년에 석성(石城)현으로 이름을 고쳐 옛 이름을 취하였다.  石城, 漢縣, 屬右北平. 貞觀十五年, 於故臨渝縣城置臨渝. 萬嵗通天二年, 改為石城, 取舊名.
『舊唐書』 권 39, '지리 2' '平州 北平郡'

위 《太平寰宇記(태평환우기》, 《書蔡氏傳旁通(서채씨전방통)》, 《通典(통전)》 및 《舊唐書(구당서)》 '지리지' 등의 기사에 따르면 당(唐)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의 석성현(石城縣)은 북평군의 치소인 노룡성(盧龍城)의 서 또는 서북쪽 방면 140여 리 거리에 있었고, 그 위치는 본래 같은 이름의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의 속현이 있었던 곳이다.

석성(石城)현, 전한(前漢)의 우북평(右北平)군에 속했고 뒤[후한(後漢) 시기]에도 [우북평군에] 속했다. 진군(真君) 8년(447년)에 요양(遼陽)현, 로(路)현, 대락(大樂)현이 [석성현에] 병합되었다. 백록산(白鹿山)사당이 있다.  石城前漢屬右北平,後屬。真君八年並遼陽、路、大樂屬焉,有白鹿山祠。
『魏書』 권 106 上, '地形 2 上' '營州 建德郡 石城縣'

생각컨대 석성(石城)현은 네곳이 있다. ... [중략] ... 하나는 지금의 영평부(永平府) 서북에 있는데, 후위(後魏)가 설치하여 건덕군(建德郡)에 속하게 하였다. [《通典(통전)》에 평주(平州)에서 서북으로 140리를 가면 석성(石城)현에 이른다 한 곳이 그곳이다.]  按石城有四 ... [중략] ... 一在今永平府西北,後魏置,屬建德郡 [通典平州西北到石城一百四十里者是]
『禹貢錐指』 권 11 上

 

지도 4    통설상 평주(平州) 노룡성(盧龍城)과 북위(北魏) 영주(營州) 건덕군(建德郡) 석성현(石城縣)의 상대적 위치 -

              석성현이 노룡성의 동북 방향에 있다.  본 지도 출처 : 『谭其骧 中国历史地图集4-精装本-南北朝』 譚其驤 지음


또한 위 《魏書(위서)》 및 《禹貢錐指(우공추지)》의 기사에서 확인되듯이 당(唐)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의 석성현(石城縣)은 역시 같은 이름의 북위(北魏) 영주(營州) 건덕군(建德郡) 의 속현이었던 곳이기도 하다.

통설에 따른 북위(北魏) 영주(營州) 건덕군(建德郡) 석성현(石城縣) [즉 「당(唐)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 석성현(石城縣)」 및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석성현(石城縣)」]의 비정위치는 요녕성(遼寧省) 호로도시(葫蘆島市) 건창현(建昌縣)과 조양시(朝陽市) 객라심좌익 몽골족자치현(喀喇沁左翼 蒙古族自治縣)의 접경 일대로서 (지도4 및 2부 지도3 참조), 그 지역은 통설상 당(唐) 평주의 치소, 즉 노룡성(盧龍城)의 위치로 비정되는 현 하북성 진황도시(秦皇島市) 노룡현(盧龍縣)을 기준으로 그 동북쪽에 위치하므로 사서에 기록된 '서' 또는 '서북'에 명백히 배치된다. 그리고 양 지점간의 거리 또한 직선으로 125킬로미터(282리)에 달하여 역시 사서의 기록과는 동떨어진 수치이다.

 

다시 말해서, 학계의 통설로 정하여진 당(唐) 평주 북평군 석성현 [고로 「한 유주 우북평군 석성현」 및 「북위 영주 건덕군 석성현」]의 비정위치와, 같은 통설상 평주의 치소인 노룡성(盧龍城)의 상대적 방향 및 거리가 사서의 기록에 완전히 어긋나는 엉터리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이를 포괄하는 해당 통설 자체의 신뢰성에도 심각한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필자가 주장하는 당(唐)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의 치소 노룡성(盧龍城)과 속현인 석성현(石城縣)의 상대적 비정위치는 어떠한지 알아보자.

 

문헌고증을 통하여 이미 밝혔다시피 필자가 주장하는 노룡성의 비정위치는 현 하북성 보정시 정흥현(定興縣)의 고성(固城)이다. 우선 본글에서 새로 밝히는 석성현의 비정위치인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은 정흥현의 고성을 기준으로 서북 방향이므로 위 《通典》의 기록에 일치하며, 보다 정확히는, '서(西)'로 간주하여도 무방한 서서북 방향으로서 위 《太平寰宇記》 및 《書蔡氏傳旁通》의 기록에도 역시 부합한다.

한편 《通典》, 《太平寰宇記》, 《書蔡氏傳旁通》 등의 사료에 적시된 140여 리는 '1리당 1,500 당(唐) 대척 (大尺, 0.2955미터)'의 표준을 적용하면 62.06킬로미터에 해당하는데, 추정되는 고성(固城)과 북기촌(北淇村)간 당시의 도보 경로에 따른 양 지점간의 실제 거리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기록에 대비하여 보자.

[양문]피(梁門陂)의 물은 북으로 범양피(范陽陂)에 접하여 있다. [양문]피는 범양성(范陽城) 서쪽 10리에 있으며, 사방 15리이다. 세간에서는 염대피(鹽臺陂)라 부르기도 한다. [양문]피의 물은 남쪽으로 양문정(梁門淀)에 통한다. 사방 3리이다. [양문]정의 물은 동남으로 흘러서 장성을 나와 역수(易水)에 물을 대는데, 범수(范水)라 칭한다. 역수는 아래로부터 범수를 차지하는데, 통상 [범수로] 부른다. 또 동으로 범양현(范陽縣)의 옛성 남쪽을 지난다. 즉 응소(應劭)의 이른 바 '범수지양(范水之陽)'이다.  陂水北接范陽陂,陂在范陽城西十里,方十五里,俗亦謂之為鹽臺陂。陂水南通梁門淀,方三里。淀水東南流,出長城注易,謂之范水。易水自下,有范水通目。又東逕范陽縣故城南,即應劭所謂范水之陽也。
『水經注』 권11 '易水'

 

지도 5    고지도에 따른 노룡성→석성현 도보 이동 경로, 본 지도 출처: Karte von Tschili und Schantung, 1907

 

지도 6    고지도에 따른 노룡성→석성현 실제 도보 이동 경로, 구글 지도 거리측정


《水經注(수경주)》에 따르면 고대 정흥현(定興縣) 고성(固城, 즉 범양성范陽城)의 서쪽 방면은 그 일대를 동남 방향으로 흐르던 계조하(鷄爪河, 즉 범수范水)의 흐름을 중심으로 주변에 범양피(范陽陂), 양문피(梁門陂) 및 양문정(梁門淀) 등, 상당한 규모의 습지로 가로막혀 있었다. 따라서 고성(固城)에서 출발하여 북기촌(北淇村)에 이르려면 습지를 남쪽 또는 북쪽으로 우회하는 길을 택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20세기 초의 고지도에 표시된 경로를 참고하면 아마도 역현(易縣)까지 더욱 멀리 돌아가야 했을 북쪽 보다는 아래로 서수구(徐水區), 수성진(遂城鎮) 및 대왕점진(大王店鎮) 일대를 경유하는 남쪽 우회로가 보다 용이했을 듯하다. 추정되는 최단의 남쪽 우회로는 지도5 및 지도6에 표시된대로이며 그 길이는 57.63킬로미터이다. 앞서 언급한 '1리당 1,500 당(唐) 대척'의 표준을 적용하면 해당 수치는 130리인데, 불가피한 오차를 감안하면 사서에 기록된 140리 [또는 141리]에 의미있게 근접하였다 할 수 있다.

 

결론 (1, 2, 3부 통합)

 

  • 백랑산(白狼山)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의 굴륭산(窟窿山)이다.
  • 백랑수(白狼水)는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의 굴륭산(窟窿山)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현 폭하(瀑河)의 지류이다.
  • 석성천수(石城川水)는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일대를 흐르는 폭하(瀑河)의 최상류 [본류]이다.
  •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백랑현(白狼縣)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류가장촌(劉家庄村) 일대에 비정된다.
  •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석성현(石城縣)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 일대에 비정된다.
  •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려성현(驪成縣)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 일대에 비정된다.
  • 한(漢) 유주(幽州) 요서군(遼西郡) 유성현(柳城縣)은 하북성 보정시 서수구(徐水區) 동부산향(東釜山鄕) 일대에 비정된다.
  •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시기 전연(前燕), 후연(後燕) 및 북연(北燕)의 도읍이었던 용성(龍城), 즉 화룡성(和龍城)은 하북성 보정시 서수구(徐水區) 동부산향(東釜山鄕) 일대에 비정된다.
  • 북위(北魏) 영주(營州)의 치소 화룡성(和龍城)은 하북성 보정시 서수구(徐水區) 동부산향(東釜山鄕) 일대에 비정된다.
  • 북위(北魏) 영주(營州) 건덕군(建德郡) 석성현(石城縣)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 일대에 비정된다.
  • 당(唐)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 석성현(石城縣)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 일대에 비정된다.
  • 고구려-수(隋) 1차 전쟁시 임유관(臨渝關)은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북기촌(北淇村) 부근에 있었다.
  1. '노룡(盧龍)'은 당(唐) 평주(平州)의 치소였던 노룡성(盧龍城)을 가리킨다.
  2. 참고로, 통설상 북위(北魏) 영주(營州) 건덕군(建德郡) 석성현(石城縣)의 위치는 청(淸)대 영평부(永平府)의 치소인 현 진황도시(秦皇島市) 노룡현(盧龍縣)를 기준으로 동북방향이므로 청대의 사료에도 어긋난다.
  3. ☞ 지도 3 통설상 우북평군(右北平郡) 석성현(石城縣)의 위치
  4. 평주 노룡현의 위치에 관하여는 ☞ 당(唐) 평주(平州)와 노룡성(盧龍城)의 위치에 대하여 참조 바람
  5. ☞ Chinese units of measurement 참조 바람
  6. ☞ 명나라 영평부(永平府) 노룡현(盧龍縣)은 보정에서 난하 유역으로 지명이동된 가짜다. (문헌 증거사료 공개) 참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