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인의 고대사공부방


백랑산(白狼山)과 백랑수(白狼水) 1부 - 흰색 이리를 닮은 산

카테고리 없음

백랑은 요나라와 북송(北宋)의 국경 부근에 있었다.


《唐書》 '地理志'에 평주(平州)에 자몽(紫蒙), 백랑(白狼), 창려(昌黎) 등의 수(戍)가 있다고 하였다. 모두 평주의 북쪽 지경, 거란의 남쪽 경계이다.  唐書地理志平州有紫䝉白狼昌黎等戍 盖平州之北境契丹之南界也
『資治通鑑』 권 214, 胡三省 註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 下, 처음에 임유(臨渝)에서 다스리다가 무덕(武德) 원년에 노룡(盧龍)으로 옮겨 다스렸다. 토공(土貢)으로는 곰가죽과 순비기나무열매(蔓荆實)와 인삼(人葠)이 있다. 가구수는 3113이고 인구수는 2,5086명이다. 현은 3개이다. 부(府)가 하나인데 노룡(盧龍)이라고 한다. 노룡군(盧龍軍)이 있는데 천보(天寳) 1년에 설치하였다. 또한 유성군(柳城軍)이 있는데 영태(永泰) 원년에 설치하였다. 온구(温溝)와 백망(白望)과 서협석(西狹石)과 동협석(東狹石)과 녹주(緑疇)와 미부(米磗)와 장양(長楊)과 황화(黄花)와 자몽(紫蒙)과 백랑(白狼)과 창려(昌黎)와 요서(遼西) 등의 12 수(戍)가 있다. 애천(愛川)과 주기(周夔) 등의 2개의 진성(鎮城)이 있다. 동북쪽에는 명질관(明垤闗)과 골호성(鶻湖城)과 우모성(牛毛城)이 있다.  平州 北平郡 下 初治臨渝 武德元年徙治盧龍 土貢 熊鞹 蔓荆實 人葠 户三千一百一十三 口二萬五千八十六  縣三  有府一 曰盧龍 有盧龍軍 天寳一載置 又有柳城軍 永泰元年置 有 温溝 白望 西狹石 東狹石 緑疇 米磗 長楊 黄花 紫蒙 白狼 昌黎 遼西 等十二戍, 愛川 周夔 二鎮城 東北有 明垤闗 鶻湖城 牛毛城
『新唐書』 권 39 '地理志' 

백랑(白狼)현 [망(莽)은 복적(伏狄) 이라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백랑산(白狼山)이 있으므로 현을 이름 짓게 되었다」 하였다.]  白狼 [莽曰伏狄 師古曰 有白狼山故以名縣]
『漢書』 권 28下 '地理志' '유주(幽州) 右北平郡' 

 

지도 1    서기 1111년 거란과 북송(北宋)의 국경선, 붉은색 타원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백랑(白狼)의 위치 추적

              범위이다. 본 지도 출처 : 『中國歷史地圖集6-精裝本-宋遼金』 譚其驤 지음

 


본래 한(漢)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의 속현이었던 백랑현(白狼縣)은 당(唐)대에 이르러 평주(平州) 북평군(北平郡)의 수(戍)로 잔존하였는데, 《資治通鑑(자치통감)》 권 214 호삼성(胡三省) 주석에 자몽(紫蒙), 창려(昌黎) 등과 함께 당(唐) 북동쪽 변방의 수(戍)였던 백랑(白狼)이 평주의 북쪽 지경이자 거란의 남쪽 경계였던 곳에 설치되었었다고 전하여 고대 우북평군 백랑현의 위치 추적에 유용하다. 해당 기록상의 당(唐) 평주는 대체로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保定市) 관할구역과 일치하는 곳이고, '거란의 남쪽 경계'는 서기 1125년 금(金)나라의 공격으로 멸망하기 직전 거란족의 요(遼)나라와 그 남쪽에 위치하였던 북송(北宋) 사이의 국경선을 가리킨다. 따라서 백랑현의 위치 추적 범위는 대략 거란-북송의 국경선이 지나는 현 하북성 보정시 관할하의 서수구(徐水區) 서부, 만성구(滿城區) 북부 및 역현(易縣) 동남부 일대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좁혀진다. (지도1, 2 참조) 아울러, 뒤에 자세히 논하겠지만, 백랑현에는 백랑산이 있었으므로 해당 지역 내에서 산지(山地)가 전혀 없는 평야지대는 위치 추적 범위에서 추가로 제외된다.

 

 

백랑수는 요수와 합류한다.

 

대요수(大遼水)는 새(塞) 밖의 위(衛) 백평산(白平山)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새(塞)로 들어간 후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서쪽을 지난다.  大遼水出塞外衛白平山, 東南入塞, 過遼東襄平縣西.
『水經』 '大遼水'

요수(遼水)는 오른쪽으로 백랑수(白狼水)와 모인다.  遼水右㑹白狼水
『水經注』 권 14 '大遼水'

필자는 이전 글의 문헌고증을 통하여 [위(衛) 백평산(白平山)에서 발원한] 고대 요수(遼水)가 현 하북성 보정시 역현(易縣), 서수구(徐水區) 및 용성현(容城縣) 일대를 흐르는 남역수(南易水)인 것으로 밝힌 바 있다.

 

요수(遼水)가 백랑수(白狼水)와 모인다고 한 위 《水經注(수경주)》의 기록으로 미루어, 요수를 지금의 남역수(南易水)로 본다면 백랑수는 남역수와 합류하는 물줄기가 분명한데, 이와 같은 지리적 조건을 충족하는 고대 백랑수의 실체로서 역현(易縣) 당호진(塘湖镇) 부근에서 남역수와 만나는 폭하(瀑河) 상류의 물줄기가 유력해 보인다. 더욱이 두 물줄기의 합류지점에서 실제로 남역수가 오른쪽으로 폭하와 만난다는 사실은 위 《水經注》의 기록에 정확히 부합한다. (지도 2 참조)

 

[백랑]수는 우북평군(右北平郡) 백랑현(白狼縣) 동남쪽으로 나와서 북쪽으로 흐르다가 서북쪽으로 굽어 광성현(廣成縣) 옛 성의 남쪽을 지난다. 왕망의 평로현(平虜縣)인데 세간에서는 광도성(廣都城)이라고 한다.  水出右北平白狼縣, 東南, 北流, 西北屈, 逕廣成縣故城南. 王莽之平虜也, 俗謂之廣都城.
『水經注』 권 14 '大遼水'


따라서 앞서 언급한 당(唐)의 수(戍) 백랑(白狼)의 대략적인 위치를 염두에 두고, 백랑수(白狼水)가 우북평군(右北平郡) 백랑현(白狼縣)에서 발원한다는 위 《水經注》의 기록을 주시한다면 백랑현은 지금의 폭하(瀑河) 상류 일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흰색 이리를 닮은 백랑산

 

《漢書(한서)》 '지리지'에 전하는대로 백랑산(白狼山)은 백랑현(白狼縣)에 있었다. 따라서 백랑산을 먼저 찾으면 백랑현의 위치 역시 알 수 있을 것이다.

보정시 서북쪽의 험준한 산지에서 발원한 폭하(瀑河)의 상류가 북동쪽으로 굽어 흐르는 역현(易縣) 당호진(塘湖鎮) 공산촌(孔山村) 인근에 해발 320여 미터 높이의 굴륭산(窟窿山)이 있다. (지도2 참조) 흰색 바위로 이루어진 산 정상부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어 공산(孔山)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필자는 퍽 오래전부터 굴륭산이 바로 고대의 백랑산(白狼山)일 것으로 짐작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다름 아닌 산의 모양새 때문이었다. 조금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면 알아챌 수 있듯이 굴륭산 정상부의 전체적인 모습은 주둥이를 길게 내밀고 입을 벌린 채 납작 웅크리고 있는 흰색 이리의 형상이다. (사진 1, 3 참조) 물론 필자의 주관적인 느낌이 다소 작용했을 수도 있겠으나, 백랑수(白狼水)로 비정되는 폭하 상류에 하필이면 저런 모양의 산이 우연히 자리잡고 있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한눈에 들어오는 이미지는 산 위에 올라탄 '흰색 이리', 즉 '백랑(白狼)'이다. 

사진 1    역현(易縣) 굴륭산(窟窿山) - 백랑산(白狼山)

 

사진 2    역현(易縣) 굴륭산(窟窿山) - 백랑산(白狼山), 산기슭에 줄지어 있는 석축은 무너지고 남은 성벽의 하단부로

              추정된다. 아마도 백랑성(白狼城)의 흔적일 것이다.

 

사진 3    역현(易縣) 굴륭산(窟窿山) - 백랑산(白狼山)

 

 

굴륭산(窟窿山)의 이리 형상은 동남쪽 방향에서 산을 바라 보았을 때에만 관찰된다. 《漢書》 '지리지'의 기록대로 백랑현(白狼縣)의 명칭이 백랑산(白狼山)에서 유래된 것이라면 백랑현의 중심부는 이리의 형상이 보이는 굴륭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했을 것이다. 따라서 백랑현은 굴륭산 동남쪽 기슭의 류가장촌(劉家庄村) 일대에 비정된다. (지도 2 참조)

 

지도 2    백랑산(白狼山)과 백랑수(白狼水) 및 주변 지명들의 비정 위치.  거란-북송 국경선은『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6-精裝本-宋遼金』을 참조하였다.  본 지도 출처 : Tencent Maps

 

백랑산은 용성의 북쪽에 있었다.

 

유성현(栁城縣) [마수산(馬首山)이 현의 서남쪽에 있다. 참류수(參栁水)가 북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서부도위(西部都尉)의 치소이다.]  栁城 [馬首山在西南 參栁水北入海 西部都尉治]
『漢書』 '地理志' '幽州 遼西郡'

《漢書》 '지리지'에 따르면 한(漢) 유주(幽州) 요서군(遼西郡)의 속현인 유성현(栁城縣)은 마수산(馬首山)의 동북 방면에 있었다. 필자는 이전 글에서 고구려-당(唐) 전쟁 당시 당(唐)군의 주둔지였던 마수산이 현 하북 보정시 서수구(徐水區) 맹촌(孟村) 인근의 상산(象山)이라 주장한 바 있다.

 

상산(象山)이 고조선 시기(즉 한漢 시기)의 요수(遼水)로 비정되는 남역수(南易水) 서쪽 건너편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산(象山) 일대가 한(漢) 유주(幽州) 요서군(遼西郡)의 영역이었을 개연성이 짙다. 따라서 《漢書》 '지리지'에 유주 요서군의 속현인 유성현(栁城縣)과 관련하여 언급된 마수산(馬首山)은 바로 고구려-당(唐) 전쟁 당시 당(唐)군이 요동성 공략의 최전방 기지로 삼았던 '마수산'과 동일한 곳, 즉 지금의 상산(象山)으로 판단된다. 그렇다면 고대 유성현의 위치는 《漢書》 '지리지'의 기록에 따라 상산(象山) 동북쪽 5킬로미터 지점의 서수구(徐水區) 동부산향(東釜山鄕) 일대가 틀림없을 것이다. (지도 2 참조)

유성현(柳城縣), 한(漢)의 요서군(遼西郡)에 속하여 서부도위(西部都尉)의 치소가 되었다. 동한(東漢)이 없앴다. 모용황(慕容皝)은 유성(柳城)의 북쪽, 용산(龍山)의 남쪽이 덕이 있는 남쪽땅이라 하였다. 이에 도읍를 짓고 유성을 고쳐 용성(龍城)이라 하고 이곳으로 옮겨 거하였다. 이때 흑룡과 백룡 각 1마리가 용산에서 싸우므로, 황이 몸소 바라보며 태뢰(太牢)를 지냈다. 두 마리 용이 서로 머리를 꼬며 희롱하다가 뿔을 풀고 가버렸다. 황(皝)이 기뻐하며 새 궁궐을 화룡궁(和龍宫)이라 불렀다. 후에 모용보(慕容寳)와 풍발(馮跋)이 서로 이어서 수도로 삼았다.  柳城縣 漢屬遼西郡為西部都尉治 東漢省 慕容皝以柳城之北 龍山之南 南徳地也 乃營建都邑 改柳城曰龍城而徙居於此 時有黒龍白龍各一 鬬於龍山 皝親觀之 祭以太牢 二龍交首嬉翔 解角而去 皝悦 號新宫曰和龍宫 後慕容寳 馮跋 相繼都焉
『輿地廣記』 卷十二 柳城郡

연왕 모용희(熙)가 왕후 부(苻)씨와 함께 수렵을 갔다. 북으로 백록산(白鹿山)에 오르고, 동으로 청령(青領)을 넘어, 남으로 창해(滄海)에 임한 후 돌아왔다.  燕王熙與苻后遊畋,北登白鹿山,東踰青領 南臨滄海而還
『資治通鑑』 권 112 晉紀 35, 東晉 元興 3년 (404년) 11월 (음)

한(漢) 유주(幽州) 요서군(遼西郡) 유성현(柳城縣)은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전연(前燕)의 초대 황제인 모용황(慕容皝)이 첫 도읍으로 삼아 '용성(龍城)'으로 개명한 곳이고, 그 뒤를 이은 후연(後燕)이 북위(北魏)의 팽창에 밀려 중산(中山)을 버리고, 397년에 천도하여 새로이 자리잡은 두번째 도읍이었던 곳(역시 '용성龍城')이다. 따라서 모용희의 재위 기간(401년 ~ 407년) 당시 후연의 왕궁은 용성의 화룡궁(和龍宮)이었다.

 

[백랑수는] 또한 서북쪽으로 흐르다가 석성천수(石城川水)가 백랑수(白狼水)로 흘러든다. [석성천]수는 석성산(石城山) 서남으로 나와서, 동쪽으로 흘러 석성현(石城縣) 옛 성의 남쪽을 지난다.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우북평군(右北平郡)에는 석성현이 있다고 했다. [석성천수는] 북쪽으로 굽어서 백록산(白鹿山) 서쪽을 지나는데, 즉 백랑산(白狼山)이다.  又西北,石城川水注之,水出西南石城山,東流逕石城縣故城南,《地理志》:右北平有石城縣,北屈逕白鹿山西,即白狼山也。
『水經注』 권 14 '大遼水'


《資治通鑑》의 기록에 서기 404년 11월(음) 후연(後燕)왕 모용희(慕容熙)는 왕후를 동반하여 「사냥에 나서 북쪽으로 백록산(白鹿山)에 올랐다」하였다. 따라서 백록산, 즉 백랑산(白狼山)은 용성(龍城)의 화룡궁(和龍宮) 북쪽 그리 멀지 않은 곳 어딘가에 있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후연(後燕)의 도읍 용성은 한(漢) 우북평군(右北平郡) 요서군(遼西郡)의 유성현(柳城縣)이었던 곳이고, 그 위치는 지금의 보정시 서수구(徐水區) 동부산향(東釜山鄕) 일대로 비정된다. 그런데 필자가 고대의 백랑산으로 지적하는 굴륭산(窟窿山)이 동부산향의 서북 방면 6.5킬로미터 거리에 있다. 용성(유성)을 가운데 두고 사서의 기록에 부합하는 마수산(馬首山 즉 象山)과 백랑산(白狼山 즉 窟窿山)의 상대적 위치가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것이다.

부차적으로, 북위(北魏) 영주(營州) 및 창려군(昌黎郡)의 치소 화룡성(和龍城) 역시 같은 곳, 즉 보정시 서수구 동부산향 일대에 비정된다.

 

 

2부에서 계속 ...  ☞  https://earthlin9.tistory.com/27

  1. '戍'는 수자리 즉 변경의 요새를 뜻한다.
  2. 평주의 위치에 관하여는 ☞ 당(唐) 평주(平州)와 노룡성(盧龍城)의 위치에 대하여 참조 바람
  3. ☞ 요수(遼水)와 요동고새(遼東故塞), 고조선과 한(漢)의 국경선 참조 바람
  4. ☞ 요수(遼水)와 요택(遼澤) 그리고 마수산(馬首山), 고구려-당(唐) 전쟁 당시의 위치 참조 바람
  5. 중산(中山) :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 정주(定州)